2020년 4월 10일 일본 정부는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초진을 포함한 온라인 진료를 일시적으로 전면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일본에서는 이미 2018년 4월부터 온라인 진료에 공적 보험을 적용하기 시작했지만 규제가 엄격한 탓에 보급률은 1%대에 머물렀다. 최근 스가 요시히데 정권의 주도 하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는 상황 속에서 일본의 온라인 의료시장이 앞으로 어떻게 성장해 나갈지 살펴보고자 한다.
온라인 진료 관련 제도 정비
일본 후생노동성은 지난 4월에 발표한 온라인 진료 특례조치를 항구화하기 위해 11월 2일에 검토회의를 개최했다. 검토회의에서 본격적인 논의를 통해 ‘온라인 진료의 적절한 실시에 관한 지침’을 재정비하고 2020년 연내에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후생노동성이 이렇게 신속하게 움직이는 이유는 스가 요시히데 정권이 핵심 정책인 디지털 개혁을 실행하기 위해 온라인 진료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검토회는 ‘초진을 포함한 온라인 진료에 대해 주치의가 실시하는 경우에 한해 허용’하는 것을 큰 방향성으로 잡고 있다. 그러나 ‘초진’과 ‘주치의’의 정확한 정의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한편, 온라인 진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특례조치에서는 허용됐던 전화 진료를 제외하고 온라인 진료 시 의사 및 환자가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도록 온라인 자격증 등을 시스템화한다는 점은 합의가 됐다고 한다.
온라인 진료를 하는 모습
자료: AGA 헤어클리닉
규제 정비로 닻을 올린 온라인 진료시장
이러한 정부의 움직임에 따라 일본의 온라인 진료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가 예상된다. 기존에는 당뇨 등 만성적인 질환에 대해서만 허용이 되던 온라인 진료의 대상이 모든 질병으로 확대된 데다가 일반적인 대면 진료와의 진료 보수 격차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일본경제신문에 의하면 특례조치 발표 이후에 일본 내 온라인 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은 전년대비 10배 이상 증가해 2020년 5월 말에 이미 1만 5000개를 돌파했다.
온라인 진료 서비스 ‘쿠론(curon)’을 운영 중인 마이신(MICIN)사의 담당자는 “쿠론을 도입한 의료기관이 2019년 말에는 1700개였지만 2020년 5월에는 3500개로 확대됐다”라며, “내과를 중심으로 소아과, 산부인과, 피부과 등에서 이용이 급증했다”라고 말했다. KOTRA 나고야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T 병원의 원장 K씨도 “최근 육아를 하는 부부, 젊은 세대 등을 중심으로 이용이 부쩍 늘고 있다”라며 “시간이 없어서 병원에 가지 못하던 이들도 편리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처_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자세히보기]